[스크랩] Re: `도연명 고사`- ※ 명대(明代) 화가 이재(李在) 마식(馬軾) 하지(夏芷)의 <귀거래혜도(歸去來兮圖)> 귀전원거(歸田園居) / 도연명(陶淵明) 羈鳥戀舊林 池魚思故淵 開荒南野際 守拙歸園田 기조연구림 지어사고연 개황남야제 수졸귀원전 갇혀 있던 새 옛 숲을 그리워하고 못의 물고기 옛 웅덩이 생각하듯 남쪽 들 변.. ~ 운율 있는 글/古展詩調 2008.10.25
[스크랩] 무제- 김시습 終日芒鞋信脚行(종일망혜신각행) 一山行盡一山靑(일산행진일산청) 心非有想奚形役(심비유상해형역) 道本無名豈假成(도본무명기가성) 宿露未晞山鳥語(숙로미희산조어) 春風不盡野花明(춘풍부진야화명) 短&#31547;歸去千峰靜(단공귀거천봉정) 翠壁亂煙生晩晴(취벽난연생만청) ~ 운율 있는 글/古展詩調 2008.10.25
만파식적 백률사 역사여래좌상의 영험 백률사(栢栗寺)의 약사여래상(藥師如來像)의 영험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신라 제32대 효소왕(孝昭王) 2년(693)에 화랑 부예랑(花郞 夫禮郞)과 安祥이 부하를 이끌고 강원도 북쪽 元山 근처까지 여행했다가 적군에게 포로가 되었다. 그때 마침 신라왕.. ~ 운율 있는 글/古展詩調 2008.04.22
강남녀 - 최치원 <강남녀> - 최치원 江南蕩風俗 養女嬌且憐 강남탕풍속 양녀교차연 冶性恥針線 粧成調管絃 야성치침선 장성조관현 所學非雅音 多被春心牽 소학비아음 다피춘심견 自謂芳華色 長占艶陽年 자위방화색 장점염양년 却笑隣舍女 終朝弄機&#26492; 각소인사녀 종조롱기저 機&#26492;縱勞身 羅衣不到.. ~ 운율 있는 글/古展詩調 2008.04.22
[스크랩] 12가사 ■ 가사(歌詞) 가곡이나 시조에 비하여 비교적 긴 가사체의 사설을 얹어 노래부르는 성악곡의 하나. 노래의 양식이 가곡만큼 세련되지는 않았으나, 시조보다는 전문성이 있는 음악이다. 현재 전하는 가사는 모두 12곡이다. 따라서 이들을 12가사라 부른다. 현재 전하는 곡은 <춘면곡 春眠曲>, <백.. ~ 운율 있는 글/古展詩調 2008.04.21
[스크랩] 국악이야기/ 가사와 12가사 가사와 12가사 블루맨 조회 227 추천 0 가사(歌詞) 가사체(歌辭體)의 긴 노랫말을 일정한 선율과 장단에 얻어 노래하는 성악곡으로서, 그 감정적인 표현이 자유로운 음악이다. 유래 가사의 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고 단지 농암 이현보(李賢輔:1467∼1555)가 지었다는 어부사가『악장가사』(樂.. ~ 운율 있는 글/古展詩調 2008.04.21
[스크랩] 사미인곡 사미인곡(思美人曲) 작가 : 정철(鄭澈;1536~1593) 연대 : 선조 18년~22년(1585~1589) 형식 : 3·4조 내지 4·4조로 서정 가사(抒情歌辭) 성격 : 충신연주지사 주제 : 연군의 정(忠臣戀君之詞), 임금을 그리는 마음 율격 : 3(4).4조의 4음보 문체 : 운문체. 가사체 이 몸이 태어날 때에 임을 따라 태어나니, 한평생 함께 .. ~ 운율 있는 글/古展詩調 2008.04.10
[스크랩] 권필 석주 권필선생 유허비 진달래 명산 강화도 고려산 (백련사 방향) 진달래 능선 가는 길에 돌아 본 석주선생 유허지 답사 2007. 4. 22 (일요일) 고려산 진달래 능선 - 지석묘 - 석주 권필선생 유허지 - 철종 잠저지 [한국의산천 ] ▲ 북한산의 일출. ⓒ 2007. 한국의산천 강화로 가던 중 김포 신도로에서 05시 58분.. ~ 운율 있는 글/古展詩調 2008.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