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사표음(簞食瓢飮)
簞 : 대광주리 단 / 食 : 밥 사 / 瓢 : 표주박 표 / 飮 : 마실 음
【뜻】한 소쿠리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말로, 매우 소박한 생활이라는 뜻.
【동의어】簞瓢陋巷(단표누항)
【출전】<논어(論語)> ‘옹야편(雍也篇)’
【고사】
공자는 일생 동안 무려 3천 명의 제자를 두었다고 한다.
그 중에는 자로(子路)처럼 이재(理財)에 밝은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자공(子貢)처럼 벼슬길에
나아가 성공한 사람도 있고, 안회(顔回)처럼 가난하지만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공자가 가장 사랑하고 아끼던 제자는 안회였다.
공자는 제자들을 그 역량에 따라 평하고 그에 맞는 충고를 하곤 했지만,
안회에게만은 늘 칭찬을 잊지 않았다. 공자의 기대에 맞추어,
안회도 워낙 학문을 좋아하여 나이 29세에 벌써 백발이 되었다 한다.
자로가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聞一知十)'며 자신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 말한 사람도 바로
안회이다. 그러나 안회는 찢어지게 가난하여 끼니 거르기를 밥 먹 듯했으며 평생 찌게미조차 배
불리 먹어 본 적이 없을 정도였다. 그러나 가난은 그의 수행과 학문 연구에 아무런 영향도 줄 수
없었다. 이런 안회를 보고 공자가 칭찬하였다.
“어질도다, 안회여. 한 소쿠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누추한 곳에 거처하며 산다면,
다른 사람은 그 근심을 견디어내지 못하거늘 안회는 즐거움을 잃지 않는구나.
어질도다 안회여”
(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飮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
한 소쿠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사는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즐거움을 잃지 않으므로
공자는 두 번이나 ‘어질도다 안회여.’라고 찬미한 것이다.
옹야편에는 이 말고도 안회를 칭찬하는 내용이 많다.
가령 “안회는 그 마음이 석 달이 지나도 어진 것을 어기지 않는다.
그러나 나머지 제자들은 겨우 하루나 한 달 동안 어진 것에 이를 뿐이다.
”라든가, 애공(哀公)이 학문을 좋아하는 제자에 대해 묻자,
“안회가 있어 학문을 좋아하고 노여움을 오래 지니지 아니하며,
허물 되는 일을 두 번 하지 않았으나, 불행하게도 명이 짧아 일찍 죽은지라,
그가 떠나간 지금에 와서는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에 대해 듣지 못하였다.”
고 대답하는 예 등이다. 요절한 안회에 대한 공자의 그리움이 절절하다. 공자의 말씀 이후 단사표음은 초야에 묻혀 사는 은사들의 생활의 표상이 되었다. 옹야편의 표현 그대로, 일단사일표음(一簞食一瓢飮)이라고도 한다
'~ 운율 있는 글 > 古展詩調'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회소곡 (0) | 2008.10.25 |
---|---|
[스크랩] 누항 - 정총 (0) | 2008.10.25 |
[스크랩] Re: `도연명 고사`- (0) | 2008.10.25 |
[스크랩] 무제- 김시습 (0) | 2008.10.25 |
만파식적 (0) | 2008.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