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왕가 - 나옹화상 혜근
나도 이럴만졍 세상애 인재러니
무상을 생각하니 다 거즛 거시로쇠
부모의 기친 얼골 주근 후에 쇽절 업다 [설의법]
져근닷 생각하야 세사을 후리치고 부모� 하직 하고
단표자 일납애 청녀쟝을 비기 들고
명산을 차자드러 션지식을 친견하야 마음을 발키려고
천경만론을 낫낫치 츄심하야
뉵적을 자부리라 허공마를 빗기 타고
마야검을 손애 들고 오은산 드러가니
졔산은 ��하고 사상산이 더옥 놉다
뉵근 문두애 자최 업슨 도적은 나며들며 하난 �에
번노심 베쳐 노코 지혜로 배를 무어
삼계 바다 건네리라 념불�생 시러 두고
삼승 딤때예 일승 돗글 다라 두고
츈풍은 �희 불고 백운은 섯도는대
인간을 생각하니 슬프고 셜운지라
념불 마는 �생드라 몇 생을 샬냐하고
셰사만 탐�하야 애욕의 잠겻는다
나도 이런사람이지만 세상애 사람의 자식이니(석가모니=누구나 부처의 본성을 가지고 있다)
변치않는 것이 없음을 생각하니 모든것이 꿈과 같구나
부모가 남겨준 얼굴은 죽은 후에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
잠시동안 생각하여 세상을 팽개치고 부모님께 하직인사하고
표주박 하나에 청려 지팡이를 빗기 들고
명산을 차자들어 깨달은 이를 직접 뵙고 마음을 밝히려고
모든 불경의 말씀을 낱낱이 뜯어 살피어
모든 번뇌를 잡으리라 사람의 마음을 빗기 타고
마술을 손에 들고 오온산을 드러가니
세간의 온갖 번뇌는 ��하고 4상산이 더옥 놉다
육근(외계의 마음을 받아들여 작용을 일으킬 여섯가지 근)의 방문앞애 발자취도 없는 탐심은 나며들며 하는 �에
번뇌의 마음을 베어버리고 지혜로 배를 움직여
삼계(욕계, 색계, 무색계)의 바다를 건너리라. 연불하는 중생(교화의 대상)을 실어 두고
삼승(성문, 연각, 보살에 대한 3가지 교법)돝대에 부처의 교리를 돛으로 달아 두고 가는데
봄바람은 순하게 불고 흰구름이 섞이어 도는데
인간을 생각하니 슬프고 서러운지라.
연불 않는 �생들아 몇 생을 살려하는고
세상살이만 탐욕스레 집착하여 애욕에 잠겼느냐
- 서사 : 속세의 무상함을 깨닫고 출가를 결행하여 득도하며 세사에 탐착하는 중생에 대해 경계한다.
념불 마는 �생드라 몇생을 샬냐하고
셰사만 탐�하야 이욕의 잠겻는다
하라도 열두 시오 한 달도 셜흔 날애 어늬 날애 한가할고
�덩한 불성은 사람마다 가자신달 어내 날애 생각하며
항사공덕은 볼내구족한들 어내 시예 나야 쓸고
셔왕은 머러지고 지옥은 갓갑도쇠
이로시오 어로신네 권하노니 죵제션근 시무시소 [돈오법]
금생애 하온 공덕 후생애 슈하나니
백년탐물은 하라 아� 듯글이오
삼일 하온 념블은 백쳔만겁에 다함 업슨 보뵈로쇠
어와 이 보뵈 력천겁이불고 하고 금만세이장금이라
건곤이 넙다한들 이 마음애 미칠손가
일월이 불다한들 이 마음애 미칠손가
삼세제불은 이 마음을 아라시고
뉵도중생은 이 마음을 져바릴새
삼계�회을 어늬 날애 긋칠손고
하루도 열두 시이고, 한 달도 서른 날인데 어느 날이 한가 할고
맑고 깨끗한 불성은 사람마다 가�건만 어느 날에 생각하며
많고 많은 공덕은 본래 다 가지고 잇건만 어느 때에 내어 쓸고
극락왕생은 멀어지고 지옥은 가깝도다
이보시오 어로신네(교화의 대상) 권하노니 착한일들 많이하소
이생에 쌓은 공덕은 후생애 받으나,
백년간 아껴모은 재물은 하루 아침 티끌에 불과하오
삼일동안 해온 염불은 백년 만번의 겹이 다할 그때까지 다함이 없을 보배이오
어와 이 보배는 천겹이 지나도 쇠하지 않고, 만세를 다해 지금까지도 남아있도다
천지가 넓다고 한들 이 마음에 미칠 것인가
해와 달이 붉다고 한들 이 마음이 미칠 것인가
삼세제불은 이 마음을 아시고
육도중생(인간, 귀신, 짐승)은 이 마음을 져 버릴때
삼계윤회를 어느 날애 그칠 수 있을고
- 본사 : 개인적 자각을 넘어 중생 구제의 대승적 관점, 공덕 닦기 권면
져근닷 생각하야 마음을 끼쳐 먹고 태호를 생각하니 [돈오법]
산�� 슈잔잔 풍슬슬 화명명하고 송죽은 낙낙한대
화장바다 건네 저어 근낙세계 드러가니
칠보금지예 칠보망을 둘러시니 구경하기 더옥 죠해
구품년대에 념불소리 자자 잇고
청학백학과 앵무공쟉과
금봉�봉은 하나니 념불일쇠
�풍이 건듯 부니 념불소리 요요하외
어와 슬프다 [향가 차사 영향]
우리도 인간애 나왓다가 념불 말고 어이할고
나무아미타불
잠시간 생각해보니 마음을 �쳐 먹고 태호를 생각하니
산은 첩첩이오 물은 잔잔하며 바람은 슬슬하고 꽃은 명명하고 소나무는 낙락하는데
인간세계를 건너 극락세계로 들어가니
칠보(일곱가지 보석)깔린 비단 땅에 칠보로 된 망을 둘렀으니 구경하기가 더욱 좋구나
구품의 연대에 염불소리가 들려 오고
�학, 백학과 앵무, 공작과
금봉�봉은 오로지 염불만 하는구나
푸른바람이 건듯 부니 염불소리 쓸쓸하다
어와 슬프도다
우리도 인간에 나왔다가 염불은 않으면 어이할고
나무아미타불
- 결사 : 개인적 득도를 지향하는 소승적 관점, 서사부의 일인칭 화자가 다시 떠오름
아미타 사상 : 현세 - 예토 - 서방 - 정토 극락왕생을 희구하는 대중성을 띰.
옛부터 우리 상주에는 이름난 절이 넷 있는데 남장사, 북장사, 갑장사, 승장사여서 4장사라고도 하였다. 갑장사는 4장사 중의 하나로 갑장산 문필봉 밑에 있는데 신라 때에는 진묵대사가 머물렀던 곳이며, 고려 때에는 '서왕가'를 지었던 고승 나옹선사도 이 절에서 수도하였다고 한다.
어느 봄날, 나옹선사는 우물가에서 손수 상추를 씻다 말고 일어서서 아득히 남쪽 해인사 쪽을 향하여 그 물을 훌훌 뿌렸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 날 합천 해인사에서는 큰 불이 나서 장차 팔만대장경을 보관할 장경각에 불이 옮아 붙으려는 참이었는데, 갑자기 푸른 하늘에서 소나기가 내려 불길을 가라앉게 했다는 것이다. 이는 곧 그의 신통력이 화재를 면하게 하였던 것이다.
나옹선사의 신통력은 여러 면에서 나타났다. 어느 때는 상좌들과 한 자리에 앉아 계란 반죽으로 떡을 만들어 먹으려던 참이었는데, 나옹선사가 상좌에게 떡 하나씩을 수저로 들고 있으라고 하였다. 상좌들이 그 말대로 하니 나옹선사는 잠시 뭐라고 주문을 외웠다. 그러자 들고 있던 떡에서 병아리가 생겨 폴폴 날며 자리에 내려 앉았다. 모두들 놀라 멍하니 앉아 있는데, 나옹선사는 다시 주문을 외웠다. 그러자 금새 병아리는 간 곳이 없고, 떡 하나씩이 그대로 수저에 얹혀 있었다고 한다.
해설 : 경북 상주교육청
'~ 운율 있는 글 > 古展詩調'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복령사(福靈寺) / 박은(朴誾) (0) | 2008.02.11 |
---|---|
농가월령도 (0) | 2007.11.28 |
관동별곡 (정철) (0) | 2007.11.28 |
납씨가 (정도전) -악장 (0) | 2007.11.27 |
유림가 (작자미상) (0) | 2007.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