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 ||||||
신라(향가) | 백제 | 고구려 | ||||
삼국유사(14수) + 균여전(11수) (+1수(도이장가)) = 26수 | 선운산 | 연양 | ||||
민요계(4구체) | 8구체 | 사뇌가계(10구체) | 무등산 | 내원성 | ||
서동요 | 처용가 | 제망매가 | 방등산 | 명주 | ||
풍요 | 모죽지랑가 | 찬기파랑가 | 지리산 | |||
헌화가 | 도천수대비가 | 정읍 | ||||
도솔가 | 안민가 | |||||
원가 | ||||||
원왕생가 | ||||||
혜성가 | ||||||
우적가 | ||||||
보현시원가11수 | ||||||
고려 | ||||||
고려노래 | 속요 | 경기체가 | ||||
도이장가 | 정과정곡 | 악학궤범 | 한림별곡 | |||
벌곡조 | 정읍사 | 관동별곡 | ||||
장암 | 동동 | 죽계별곡 | ||||
보현찰 | 처용가 | 불우헌곡-정극인 | ||||
아야 | 서경별곡 | 악장가사 | 독락팔곡-마지막(권호문) | |||
태평곡 | 청산별곡 | |||||
사리화 | 쌍화점 | |||||
거사련 | 정석가 | |||||
수정사 | 만전춘 별사 | |||||
월정화 | 이상곡 | |||||
예성강 | 사모곡 | |||||
가시리 | ||||||
상저가 | 시용향악보 | |||||
유구곡 | ||||||
악장 | ||||||
한문악장 | 현토악장 | 국문악장 | ||||
천권동수지곡 | 정동방곡 | 연장체 (후렴구) |
신도가 | |||
웅천곡 | 경근곡 | 신도형승곡 | ||||
축성수 | 문덕곡 | 연장체 (낙구) |
도인송곡 | |||
의경왕추존악장 종헌 | 횡살문 | 유림가 | ||||
납씨가 | 단연체 | 감군은 | ||||
봉황음 | 용비어천가 | |||||
북전(신사) | 월인천강지곡 | |||||
관음찬 | 불교적 | 불수헌가 | ||||
능엄찬 | ||||||
시조 | 4음보 | 3장 | 12구 | 가곡창-5장/시조창-3장 | ||
연군시조 | 사대부시조 | |||||
우국시조 | ||||||
세태시조 | ||||||
취락시조 | ||||||
기행시조 | ||||||
위항시인 | 가객시조 | |||||
가객명창(직업인) | ||||||
가객시인(예술인) | ||||||
기녀시조 | ||||||
김천택 - 청구영언 | 4 | 4 | 4 | 4 | 반복 | |
김수장 - 해동가요 | 4 | 4 | 4 | 4 | ||
박효관,안민영 - 가곡원류 | 4 | 4 | 4 | 4 | 4 | 전환 |
가사 | 교술/개방 | |||||
혜근<승원가><서왕가> | 발생기 | |||||
신득청<역대전리가> | ||||||
정극인<상춘곡> | ||||||
유배가사-조위<만분가> | 전성기 | |||||
기행가사 | ||||||
충신연군지사 | ||||||
전쟁가사 | 전환기 (평민층까지 향유층 확대) |
|||||
현실주제-서민가사 | ||||||
산문화 경향(6음보) | ||||||
장편가사 | 변화기(숙종때) | |||||
내방가사 | ||||||
화전가사 | ||||||
애정가사 | ||||||
훈녀가사 | ||||||
포교가사(불교, 천주교) | ||||||
동학가사 | 쇠퇴기 | |||||
개화가사 | ||||||
남도민요 | 계면조, 판소리 | |||||
서도민요 | 수심가 | |||||
강원도 | 메나리조(울듯) |
'자라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양상 (0) | 2008.04.22 |
---|---|
국학과 독서삼품과 (한문학의 성숙) (0) | 2008.04.22 |
8. 용언의 활용(2) (0) | 2008.03.29 |
문학비평론 정리표 (0) | 2008.02.25 |
pop qize 2 (0) | 2008.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