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예 기 (禮記) 예기(禮記) 유교 경전으로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춘추(春秋)》와 함께 오경(五經)의 하나이며, 예경(禮經)이라 하지 않고 《예기》라고 하는 것은 예(禮)에 관한 경전을 보완(補完)·주석(註釋)하였다는 뜻이다. 『예기』의 성립은 공자 사후에 제자들이 하(夏) 은.. 뿌리로 가는 길 2009.09.26
민화의 의미 *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김홍도.죽하맹호도. 임희지의 대나무,황기천의 제문.김홍도의 맹호. 3인합작. 현제 심사정 맹호도.화제로 보아 사후낙관이거나타작품에 현제의 낙관을 찍은것으로 판명된 맹호도. 사실 민화나 맹호도나 형태상 비슷한 그림이 많이 전래된다. 도자기에 그려진 문양처럼 모본을 .. 자라나기 2009.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