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기

[스크랩] 경주양동민속마을

눈자라기 2008. 10. 25. 22:34
 

                                   

                                  경주양동민속마을

 

 경주에서7번 국도를 따라 포항방면으로 20km정도 가면 형상강을 가로지르는 강동대교를 막지나 영천, 안강 방면으로 우회전해 조금만 가면 1984년 마을 전체가 국가지정문화재(중요민속자료198호)로 지정된 양동민속마을에 들어서게 됩니다.

 

이 마을은 조선시대에 입향(入鄕)한 월성 손씨(月城孫氏)와 여강이씨(여강이씨)가 양대문벌을 이루고 있습니다.

 

마을 내에는 월성손씨의 종가인 서백당과 여강이씨의 종가인 무첨당을 비롯하여 관가정, 향단 두곡고택, 근암고택, 수졸당, 대성헌등 조선 시대의 양반 주택과 하인들이 살았던 초가집들 그리고 이향정, 수심정 등의 정자와 서당인 강학당 등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옛 건물들이 잘 보전 되어 있습니다.

 

마을의 지세는 산등성이와 골짜기의 구성이 물(勿)자형으로 작은 산등성이와 골짜기에는 반가(斑家)들이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자리 잡고, 그 아래는 가람 집 들이 위치하고 있어 조선시대의 신분제도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공간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양동 마을은 번성당시의 마을 구성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풍수지리적으로 좋은 위치에 배치된 주요건물들은 모두 보물(무첨단 등 3건)과 중요민속자료(수졸당 등 11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양동마을 전경

 

 

 

 

  

                                                              이향정(二香亭)

 

                               어딜가던지 습관적으로 편액에  늘 눈길이 갑니다.

 

                                                            이향정(二香亭)

 

                                                    서당인 강학당(講學堂)

 

                                                        

         양동마을에 서당역활을 하였던 심수정(心水亭)으로 후에 손씨는 안락정(安樂亭)을 짓고

                          서당을 열었고 이씨는 강학당(講學堂)을 지어 서당을 열었습니다.

 

                                            심수정에있는 누마루 함허루(涵虛樓)

 

                                               

                                                           심수정의 내부

 

 

 

  

                                                          두곡고택(杜谷古宅)

 

 

 

                                                       두곡고택(杜谷古宅)의 내당

 

                                                    두곡고택(杜谷古宅)

 

                              안채와 사랑채를 완전히 분리시켜 별도의 작은대문을 통하여

                                  출입하도록 해놓은 점이 특이한 근암고택(謹庵古宅)

 

                                                           상춘헌(賞春軒) 

                                       

                                                           상춘헌(賞春軒)

 

                           사랑채의 동편에 계획적인 조경으로 동산을 꾸며놓았습니다.

 

  

 안채와사랑채의 구분이 확실하면서도 문을 통하여 바로 연결되어 있는점이 특이한 사호당(沙湖堂)

 

                                                           사호당(沙湖堂)

 

 

 

                                                    사호당(沙湖堂)의 내당

 

                                                         서백당(書百堂) 가는길

 

 

 경주손씨의 종가인 서백당(書百堂)으로 회재선생의 외가집이며 회재선생 또한 이곳에서 태어났습니다.

                                                    서백당(書百堂)

 

 

                         하루에 참을 인(忍)자를 백번 쓴다는 뜻의 서백당(書百堂)의 편액

 

 

 

 

                                         서백당 사랑채앞 수령 600백년된 향나무

 

                                                     서백당의 디딜방아채

 

                     서백당 의 내당으로 들어가는 문

 

                                                            서백당 대문

 

                                                     낙선당(樂善堂)가는 길

 

 

 

                                                          낙선당(樂善堂)

 

                                                         낙선당(樂善堂)

 

 

 

                                                          수졸당가는 언덕

 

                                                        수졸당(守拙堂)

 

 

 

                                                     수졸당의 내당

 

                         이씨문중의 서당으로 이웃의 안계댐 건설로 이건한 경산서당(景山書堂)

 

 

 

 

                                                             대성헌의 편액

 

                                                    이씨의 종가인 무첨당

 

 

 이씨의 종가인 무첨당 이마을 경주손씨 입향조인 손소선생이 사위 이번 (회재선생의 부)에게지어준 집으로 사위는 '백년지손' 이라해 자신의 사랑마당과 꼭같은 높이로 집터를 조성하고 집의 기단의 높이도

같게 했다고 합니다.

 

 

 

 대원군이 집권전 양동마을을 방문해서 쓴글씨로'영남(左海)의 풍류(琴)와 학문(書)" 이라는 뜻인"좌해금서"

 

      중국사신 조광이쓴 물봉언덕에 학문하는 마을이라 하여"물애서옥"이라는 편액을 남겼습니다.

 

 

 

 

  

 

 

                                                       무첨단의 내당

 

                                             무첨당으로 들어가는 또다른 문

 

                                                          유연재(悠然齋)

 

 

 

                                                               향단(香檀)

 

 마을에 들어서면 가장먼저 보이는 아름다운 건물인 향단(香檀)으로 회재 이언적선생이 1543년경에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할때 중종임금이 그의 모친의 병환을 돌볼 수 있도록 배려해서 지어준 집입니다.

 

                         외부구조 못지않게 내부구조도 세밀하게 지어진 아름다운 건물입니다.

 

 

 

 

 

 

 

 

 

 

 

 

 

 

 

                       전형적인 초가삼간으로 마침 이엉으로 지붕작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정겨운 모습이였습니다

 

                           형상강과 안강들이 한눈에 들어오는곳에 지어진 관가정(觀稼亭)

 

               곡식이 자라는 모습을 보듯이 자손들이 커가는 모습을 본다는뜻의 관가정(觀稼亭)

 

 

 

                                                            관가정의 내당

 

 

                     관가정의 내부로 격식을 가추어 간결하게 지어진것으로 평하고 있습니다.

 

 

 

 

 

 

출처 : 야생화사랑
글쓴이 : 금강초롱 원글보기
메모 :